Category Archives: 허접프로그래머

해킨토씨를 설정하기 위해 확인해 봐야 하는 CMOS 설정

일명 축복받은 해킨보드라 불리는 기가바이트 보드들을 사용해서 많은 분들이 해킨을 설치하실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토니맥이 배포하는 Unibeast + Multibeast 조합을 선호합니다.

참고:
http://tonymacx86.blogspot.com/2011/10/unibeast-install-mac-os-x-lion-using.html 

그런데 여기서 매우 중요한점이 한가지 있는데요, 메인보드의 CMOS설정이 어떠냐에 따라 멀쩡히 설치까지 되어도 이용중에 불안정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것입니다. 꼭 놓치면 안되는 설정을 다음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Advanced BIOS Features – Onboard VGA가 꼭 위와 같이 설정되어야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Integrated Peripherals 의 각종 SATA동작모드가 모두 AHCI로 되어야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Power Management Setup의 HPET Mode의 설정이 64비트로 되어있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세군대만 봐주셔도 순정맥과 똑같은 해킨 시스템을 갖추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특히나 첫번째 Onboard VGA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하지 않으시면 샌디브리지 계열의 내장 그래픽카드가 전혀 사용하지 않더라도 활성화 되면서 시스템 프리징(Freezing)을 일으키곤 합니다.

[NoSQL] Cassandra에서 데이터가 노드에 저장되는 방식에 대해 (Consistent Hashing)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sistent Hashing이란 다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클러스터안에 데이터를 저장할때 데이터의 키를 기반으로 하여 어떤 노드에 저장할 것인가 계산하는 로직을 말합니다. Gossip Protocol과 더블어 아마존의 Dynamo의 영향을 받은 부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간단하게 표현하여 보자면 위와 같습니다. alice라는 키에 값을 넣을때에는 3대의 노드가 있다면 단순히 이름을 해싱하여 3으로 나누면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두번째 노드에 저장하는것으로 결정 되었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이 확장됨에 따라 노드가 하나 더 추가되었습니다. 단순하게 위의 그림만을 놓고 보자면 alice는 더이상 2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3에 저장되는 군요. 반대로 이미 2에 저장된 데이터는 3으로 옮겨와야 합니다. 데이터의 개편이 필요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로 데이터는 단순하게 나머지연산(%)을 하지는 않습니다. 각각의 노드가  응답가능한 데이터의 범위를 가지고 있고 거기에 맞는 범위안에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위의 경우에는 키 alice를 해싱한 결과가 23이라면 0과 42사이에 저장하면 되는것이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운 노드가 추가(또는 삭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데이터는 여전히 그 자리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대의 노드간의 밸런스를 조정한 상태(rebalanced)입니다. 이경우 약간의 데이터가 자기 자리를 찾기위해 옮겨다녀야 합니다. 위의 alice는 23으로 변화가 없지만 35인 데이터가 있다면 노드 위치를 옮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