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영혼의양식

웹 2.0 이노베이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웹 2.0 이노베이션 – 오가와 히로시, 고토오 야스나리 지음 / 권민 옮김 / 임도헌 편집

읽는다 읽는다 하던 책인데, 이제서야 보게되었다.
너무 늦은감이 없지 않다. 책을 읽는 내내 좀더 빨리 읽어어야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웹 2.0에 대해 너무나도 당연하지만 하지만 무시할수 없는 또한 중요한 부분까지 골고루 매우 알기쉽게 설명하였다.
지은이가 일본인이라 일본 사정에 맞게 작성되어있어 조금은 우리나라의 현재 2.0 모습과 다른면도 있었다고 생각한다.
자꾸만 Mixi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우리나라로 치자면 싸이월드가 될까? 하지만 그 모습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한다.

마이크로 소프트와 구글의 경쟁구도에 대한것도 익히 들은 내용이긴 하지만 매우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고 HTML이나 CSS 기타 블로그와 그를 구성하는 많은것들이 적혀있다.

광고의 변천사도 쉽게 풀어놓아서 이해하는데 편했다. 다만 읽는 내내 이책을 작년 말에는 읽었어야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신기술이라는건 역시 빨리 내것으로 만들수록 좋다.
최신기술과 힘겹게 싸우고 계신 수많은 기술/개발자분들은 없는 시간을 쪼개어 가며 남들보다 더 많은 지식과 신기술을 습득해야만 하는 위치가 아닐까…

TNC 2주년 기념 이벤트

미래와 진화의 열쇠 – 이머전스


미래와 진화의 열쇠 이머전스 – 스티븐 존슨 지음 / 김한영 옮김 / 이인식 해설

요 근래 들어 읽은 책중에 가장 환상적이었다..라고 평하고 싶은 책이다.
이머전스란 무엇인가? 사전검색을 해보았으나 이책에서의 내용과 딱 들어맞는다 생각되는 해석은 없었다.
아마도 이책에서 논하는것과 가장 가까운걸 꼽아보라면 발생,현상 정도가 아닐까 생각된다.

이 책에서 말하는 이머전스란 창발력이라 표현하며(마찬가지로 사전검색 해봤자 엉뚱한것만 나온다) 이는
이렇게 설명할수 있을것 같다.
예를 들어 개미를 설명하자면, 개미하나하나는 거의 지능이 없다. 하지만 개미집단을 놓고 보면 무언가 지능이 있는 집단처럼 행동한다.

여왕개미는 알을 낳고, 일개미는 먹이를 찾아 떠나고 개미집내 쓰레기를 청소하고 시체를 치운다.
우리가 여왕개미라 부르는 개미는 사람들이 “여왕”이라는 호칭을 붙인것일뿐 여왕개미가 개미집단을 조종하고 지시를 내리는것이 아니다.
개미사회를 보면 모두가 평등한 위치이다. 여왕개미는 종족의 생존을 위해 계속해서 알을 낳을뿐 집단에 지시를 내리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누군가 중간에서 “너는 이일을 해, 너는 이일을 하고, 너는 쉬어” 라고 지시를 내리는 중간조정자적 역할을 하는 개미가 있다는것일까?
이것도 아니다. 개미들은 페로몬을 이용한 서로의 교감을 한다고 한다. 또는 패턴인식에 따른 행동 양식을 보인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것만으로 완벽한 집단이 탄생할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책에서도 이것은 이래서 이렇다! 라는 결론은 내리지 못하지만 이머전스에 대한 아주 좋은 예로는 사용하고 있다.

개미 자체는 지능이 없지만 그 집단은 지능이 있는 조직처럼 행동한다는것…
뉴런하나하나는 아무것도 할수 없지만 뉴런이 모여 뇌를 이루면 엄청난 지능을 갖게 된다는것…
또한 맨해튼 및 유럽의 여러 도시와 기타 몇가지 예가 나온다. 볼만하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어떤 문제점을 바라보지 못하고 자꾸 세세한것으로만 파고들어갈려는 나에게 꼭 필요한 책이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