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아이폰

이 안드로이드 열풍은 어디서 오는걸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에서도 곧 흔하게 안드로이드폰을 볼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삼성에서 마음먹고 안드로이드 폰을 국내에 보급하려고 힘쓸듯 하네요. 이게 다 아이폰 덕분이긴 합니다.

하지만 개발자의 입장에서 조금 이상한게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어찌보면 국내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플랫폼입니다. 하지만 국내의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엄청나게 인기가 많습니다.

시간이 될때마다 짬짬히 교보문고에 들려 책을 보곤 하는데 IT쪽 코너에 가면 여지없이 쌓여있는 아이폰/안드로이드책들…그런데 의외로 사람들이 안드로이드책을 펼쳐보고 있습니다. 그것도 꽤 많이들 보는 것 같습니다. 국내의 몇몇 유명 커뮤니티를 가봐도 안드로이드를 하겠다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실제로 아이폰의 경우, 국내에 들어오기도 전에 대박이 나는 사례가 많이 있었죠. 국내 개발자들도 그렇고요. 신문이나 뉴스에서 많이 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모바일 산업에 많은 기업/개인들이 눈을 돌리게 된게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아이폰이 그러했기 때문에 구글이라면 더더욱 그럴것이다라고 보는것일까요? 아직 안드로이드 마켓이라는 존재는 어찌보면 국내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모델인데요.

제가 느끼기엔 모바일 사업이라는게 엄청나게 과열된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안드로이드는 특히나 심해 보입니다.

제가 느끼기엔 다음과 같은 부분이 과열을 부추긴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1. 국내에 모바일쪽으로 나아가면 돈벌이가 된다는 의식 팽배

2. 개인 개발자들도 본업을 버리지 않고도 일확천금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 심리

3. 국내 IT업계가 자체 솔루션을 개발하지 않는 용역 개발(SI)하는 구조

4. SI에서는 대부분 JAVA를 사용함 (왜지? 솔직히 왜 그래야 하는지는 이해 안됨)

5. 안드로이드가 JAVA문법 채용, 결과적으로 JAVA개발자들이 도전하기 쉬움

6. 아이폰 어플을 개발하려면 맥(Mac OS X이상)이 필수

7. 해외 기준대비 맥 사용량이 낮은 국내 환경에서는 아이폰보다는 안드로이드가 용이

8. 삼성/SKT등 메이져 기업들이 안드로이드를 밀어줄것이다라는 기대심리

가 아닐까요? 혹시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이 모바일 과열 상태에 대해, 그리고 안드로이드에 많은 개발자들이 몰리는 현상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시나요?

[VMWare/Snow Leopard] VMWare 7.0을 이용한 스노우 레오파드 설치기

아이폰 개발을 공부하고 싶지만 맥이 없어 고민이신 분들이 많으실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킨토시라는 방법도 있지만 접근이 매우 어렵죠. 이에 간단하게 공부 목적으로 사용하실 분들을 위해 VMWare로 돌리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장 최근의 OS인 Snow Leopard 10.6.2까지의 업데이트도 매우 잘 됩니다.

* 준비물

VMWare Workstation 7.x 이상
Snow Leopard Retail 시디이미지

Snow Leopard Boot Loader + VMWare Tools 시디 이미지
1045868977.rar1014907866.rar1106206710.rar

VMWare Guest 패치
1266771358.pkg

VMWare 비디오/오디오 패치
1195876112.gz1012331931.gz


* 설치 과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새로운 가상 머신을 추가합니다. 특별한것 없이 대충 Recommend만 유지하면서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단 OS선택에서는 FreeBSD 64-Bit를 선택해 줍니다. 메모리의 경우 제 노트북이 4G라서 2G정도로 잡아보았습니다.

중요!
이후에 생성된 이미지 파일중 VMware virtual machine configuration(.vmx) 파일을 열어 guestOS의 값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줍니다.

[code]guestOS = “darwin10-64″[/code]
이제 시디 이미지로 darwin_snow.iso 파일을 마운트 해줍니다. 이 시디로 부팅을 하는데 부팅시에 F8을 눌러 부팅 옵션을 띄우도록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스노우 레오파드 리테일 이미지를 마운트 해주도록 합시다. 오른쪽 하단의 시디롬 아이콘이 활성화 되어있어야 시디롬이 정상적으로 마운트 된것입니다. 시디를 바꾸어 주었다면 c를 눌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번엔 시디 부팅 화면이 나옵니다. 이상황에서 그냥 엔터만 쳐서 설치하셔도 상관없습니다만 혹시 무한 재부팅이 된다거나 에러가 발생할 경우 위와 같이 옵션을 설정해 주도록 합니다.

boot: -v -f -x cpus=1 busratio=20

사용자 삽입 이미지위의 화면이 떴다면 절반의 성공입니다. 설치 과정이나 디스크 설정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자료가 많으니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설치가 완료된 후의 모습입니다. 정상적으로 뜬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VMWare 활용에 필요한 것들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 부가 설치

1. darwin_snow.iso 파일을 마운트 하면 VMWare Tools 설치가 뜹니다. 이것을 설치해 줍니다.
2. guestd_patches.pkg 파일을 설치해 줍니다.
3. VMsvga, EnsoniqAudioPCI 드라이버를 설치해 줍니다.

* 부팅에 대한 참고 사항

이렇게 설치를 완료하였지만 darwin_snow.iso의 도움이 없이는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이 파일을 시디롬 이미지로 마운트 해놓으면 자신이 알아서 자동으로 OS를 로드합니다. 필요한 최소한의 Kext파일도 모두 알아서 로드하기 때문에 따로 해킨을 위한 작업이 없어도 됩니다. 어찌보면 편하죠. 업그레이드 등도 매우 잘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이제 아이폰 SDK를 설치하신 후 개발 공부를 시작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