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RHEL

RHEL 5 AP 구매하였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회사에서 Redhat Enterprise Linux 5 Advanced Platform 을 구매하였다. 미국에서 건너오는 놈이라 이제서야 받게 되었다.

하나의 머신에 여러 OS를 가동시킬수 있는 가상화(Virtualization)라던가 하나의 SAN Pool에 여러 서버를 물려 사용할수 있는 GFS(Global File System)같은것들이 내 관심을 끈다.

이번 리눅스 코리아에서도 레드햇 부스에 방문해 나의 매우큰 관심을 표명하고 싶었지만, 뭐랄까 레드햇코리아에서 엔지니어분이 나왔을줄 알았는데, 다들 기술적인 부분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나와서 심도있는 이야기는 못하고 추상적인 설명만 듣다가 왔다. 하긴, 이자리는 기술 세미나 혹은 컨퍼런스가 아니라 단지 홍보용의 전시회이라는 것….

첫인상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점을 꼽아 보자면, 매우 멋지게 변한 화면들..(붉은색에 RHEL로고 겁나 멋지다)과…

내가 싫어하는 GUI관련 모듈을 설치안하면 드디어 제대로 콘솔에서 부팅이 된다는것! RHEL 4까지만 해도 아무리 그놈이나 KDE를 안깔아도 로그인만큼은 그래픽 화면으로 나오던데 이점이 매우 마음에 들었다^^;;

미디어킷은 생각보다 작은 크기였다. JBOSS 버스카드도 귀엽군…어디 쓸사람 없으신가?-_-;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공짜로 쓰기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이하 RHEL)의 경우 유료이며 개인이 사용하기에 힘든면이 있다.

대부분 페도라 코어를 깔게 될텐데, 페도라 코어는 무언가 짝퉁 아디다스티를 입는 기분이다.(나쁘다는 뜻이 아니다, 짝퉁이 진퉁보다 더 좋은 경우도 있다)

이번에 본의아니게, 서버의 RAID를 지원하는 드라이버가 RHEL용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RHEL을 설치하여 보게 되었다.

우선 알아서 각자 RHEL4버젼을 구해보도록 하자. 현재 Update 4까지 나와있다. 본인은 능력이 없어 U2를 구했다.

설치를 하도록 하자, 그 동안 Redhat홈페이지를 방문하자.

원리는 이렇다. 30day-free버젼의 라이센스를 받아, 그 라이센스를 내 RHEL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http://www.redhat.com/rhel/details/eval/

위의 페이지에 가서 자신에게 맞는 버젼에 들어가서 등록을 하면 된다. 등록하는 방법은 본인의 감에 맞기겠다.

등록하게 되면 등록했던 메일주소로 activation 메일이 온다.

중간에 XXXX-XXXX-XXXX-XXXX 형식의 Registration Number가 있다. 그것을 복사한후에

http://www.redhat.com/activate 에 가서 입력을 하면 나의 계정에 RHEL의 등록키가 활성화 된다.(Active Now!)

이제 서버에 접속하여 RPM을 사용하기 위해 GPG키를 입력하자.

[CODE][root@tomeii src]# rpm –import /usr/share/rhn/RPM-GPG-KEY[/CODE]

이제 up2date에 나의 계정을 등록하여 보자.

[CODE][root@tomeii src]# up2date –register[/CODE]

계정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주소등을 적어주고, 업데이트 리스트등을 설정해 주면 되겠다.

등록이 끝났으면 업데이트를 해보자.

[CODE][root@tomeii src]# up2date –help
[root@tomeii src]# up2date -u[/CODE]

잘되는게 보이는가? 현재 라이센스는 30일밖에 사용하지 못하지만 30일이 지난후에 다시 또 무료로 등록하여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