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서버관리

[LINUX] iperf를 사용하여 매우 쉬운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트래픽 속도 분석하기

서버와 서버간의 파일전송을 하는데 이상하게 속도가 나지 않습니다. 두대의 서버가 모두 동일한 스위치에 그것도 기가비트 포트에 물려있는데 보장되어야 할 속도가 나오지 않는다 의심될때 가장 먼저 해봐야 할일은 실제 통신 속도를 측정하는 일일 것입니다.

정말 간단하게 테스트하고 싶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여기에 정말 좋은 솔루션이 있습니다. 그것도 무료네요.

http://sourceforge.net/projects/iperf/

iperf는 두대의 서버 사이에 한대는 서버, 한대는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여 속도를 측정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치를 하도록 합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2.0.4가 최신버젼입니다만 적정한 최신 버젼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code bash]> tar -zxvf iperf-2.0.4.tar.gz
> cd iperf-2.0.4
> ./configure
> make; make install[/code]
이제 두대의 서버간의 속도를 측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버 실행하기

[code]> iperf -s
————————————————————
Server listening on TCP port 5001
TCP window size: 85.3 KByte (default)
————————————————————[/code]
* 클라이언트 실행하기

[code]iperf -c 192.168.0.2
————————————————————
Client connecting to 192.168.0.2, TCP port 5001
TCP window size: 16.0 KByte (default)
————————————————————
[  3] local 192.168.0.3 port 55881 connected with 192.168.0.2 port 5001
[ ID] Interval       Transfer     Bandwidth
[  3]  0.0-10.0 sec  1.10 GBytes    942 Mbits/sec[/code]

위의 결과를 통해 두 서버간의 통신속도는 942 Mbit/sec 라는것을 알았습니다. 기가비트 포트의 속도가 거의 보장되고 있었네요^^

[Linux/Apache] 기본(Default) VirtualHost 설정하기

가상호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VirtualHost> 설정을 하게됩니다. 그리고 이름 기반의 가상 호스팅을 하기 위해 다음의 설정을 사용합니다.

[code]NameVirtualHost *:80[/code]
* 대신에 특정 아이피를 할당할 수 있지만 그것은 여기서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위의 설정을 하는 순간부터 모든 웹서버로의 요청은 가상호스트가 받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가상호스트로 설정되지 않은 정보를 받을때는 어떤 Default한 경로로 연결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우선 기본적으로 아파치의 설정은 가상호스트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요청을 받았을 경우 가장 최상단에 설정된 가상호스트에 자동 연결 합니다.

이는 좋은 일일수도 나쁜일일수도 있겠네요. 그렇다면 가상호스트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요청이 올 경우 예를 들어 에러페이지가 들어있는 경로로 연결한다거나 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할까요?

바로 _default_ 지시자가 있습니다.

[code]<VirtualHost _default_:80>
    DocumentRoot /var/www/html
    …
</VirtualHost>[/code]
위와 같이 ServerName이나 ServerAlias 설정이 없이도 DocumentRoot설정만 있으면 됩니다. 이제부터는 가상호스트에 설정되지 않은 요청이 올 경우 저 디폴트설정이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