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리눅스

[CentOS] ntpd 설치하기

CentOS에서 ntp를 설치하는것은 yum이용하면 되기에 정말 쉽고 간단한 일입니다. 하지만 적절한 시간 싱크 서버들을 정리해두고자 이 글을 작성합니다.

ntp 데몬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명령어 한줄로 가능합니다.

$ yum install ntp

설치가 끝났군요. 이제 데몬에 등록하고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chkconfig --level 3 ntpd on
$ service ntpd start
Starting ntpd:                                             [  OK  ]

설치와 실행이 간단하게 끝났지만 한국 실정에 맞게 시간 동기화 서버들을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tc/ntp.conf 파일의 server항목을 다음으로 변경합니다.

server time.bora.net
server time.kriss.re.kr
server time.windows.com
server 0.asia.pool.ntp.org

그리고 데몬을 재시작 합니다.

$ service ntpd restart
Shutting down ntpd:                                        [  OK  ]
Starting ntpd:                                             [  OK  ]

이제부턴 ntp 데몬이 주기적으로 시간을 교정하게 됩니다.

[Linux] 아파치(Apache) 웹서버 동시접속자수 알아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눅스에서 현재 시간의 동시접속자수를 알아내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netstat 명령을 사용하여 동시접속자수를 알아내시는것 같은데요, 제가 사용하는 방식을 기억용으로 정리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접속 커넥션 수 알아내기

이 명령을 실제로 연결되어있는 커넥션 수를 알아내기에 적합합니다. 서버상에서 실제로 처리해야 하는 수를 의미합니다.
[code]netstat -an | grep :80.*ESTABLISHED | wc -l[/code]

현재 접속 사용자(머신/디바이스) 수 알아내기

이 명령은 현재 동시 접속중인 사용자수를 알아내기에 적합합니다. 하나의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개의 커넥션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을 하나로 처리를 합니다.
[code]netstat -an | grep :80.*ESTABLISHED | awk ‘{print $5}’ | awk -F: ‘{print $1}’ | sort | uniq | wc -l[/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