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리눅스

cvs pserver 설치하기

오늘은 CVS(Concurrent Version System)의 설치에 대해 알아보자.
보통의 경우, CVS패키지만 설치되어있으면 SSH, EXT등을 통하여 사용할수 있으나, pserver(Password Server)서버의 설치를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CVS패키지를 설치하자. 본인은 확인해 보니 깔려있길래 그냥 패스..
[CODE][root@Tomeii etc]# rpm -qa | grep cvs
libbonoboui-2.8.0.99cvs20040929-2
cvs-1.11.17-9.RHEL4[/CODE]

cvs패키지가 보이는가? 없다면 다음과 같이 설치하자.(RHEL 기준)
[CODE][root@Tomeii etc]# up2date –install cvs[/CODE]

이제 서비스에 pserver를 등록하자
[CODE][root@Tomeii etc]# vi /etc/xinet.d/cvspserver[/CODE]
와 같이 파일을 연후(기본적으로 없으니 자동생성 될것이다.

다음의 내용을 입력하자
[CODE]service cvspserver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cvs
        server          = /usr/bin/cvs
        server_args     = –allow-root=/cvsroot pserver
}[/CODE]

pserver로 접속하는 사용자는 cvs권한을 가지고 /cvsroot 디렉토리에 접근할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ntsysv등의 명령으로 서비스에 잘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해 보자.

[CODE][root@Tomeii home]# /etc/rc.d/init.d/xinetd reload[/CODE]
슈퍼데몬 재시작, service로 pserver만 실행해도 된다.

다음과 같이 디렉토리와 유저를 생성하자.
[CODE][root@Tomeii home]# mkdir /home/cvs
[root@Tomeii home]# ln -s /home/cvs /cvsroot
[root@Tomeii home]# cvs -d /home/cvs init
[root@Tomeii home]# useradd cvs
[root@Tomeii home]# chown -R root.cvs /home/cvs
[root@Tomeii home]# chmod -R 770 /home/cvs[/CODE]

개인적인 취향으로 실제 디렉토리는 /home/cvs에 위치하며 /cvsroot로 심볼릭 링크를 걸어놨다. 이부분은 자기 좋을데로 하면 되겠다.

사용자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passwd 파일을 만들 차례이다.
[CODE][root@Tomeii home]# cd /home/cvs/CVSROOT/
[root@Tomeii CVSROOT]# touch passwd
[root@Tomeii CVSROOT]# chown root.cvs passwd
[root@Tomeii CVSROOT]# chmod 770 passwd[/CODE]

이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텐데 passwd안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된다.
[CODE]아이디:해싱된비밀번호:접속계정[/CODE]

원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추가해보자, 비밀번호를 해싱하기 위해 아파치 웹서버에 포함되어 있는 htpasswd를 사용하였다.

아이디가 abc이고 비밀번호가 1234일 경우 :
[CODE][root@Tomeii CVSROOT]# htpasswd -nb abc 1234
abc:bc9kg/L7Fd0Nw[/CODE]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나왔다. 이제 맨 뒤에 :cvs만 추가하여 passwd파일에 추가해 주면 된다.
[CODE]abc:bc9kg/L7Fd0Nw:cvs[/CODE]

이런식으로 원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일일이 추가해 주면 된다.

이제 서버에 pserver로 접속하여 보자.

TortoiseCVS :
사용자 삽입 이미지
Eclipse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공짜로 쓰기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이하 RHEL)의 경우 유료이며 개인이 사용하기에 힘든면이 있다.

대부분 페도라 코어를 깔게 될텐데, 페도라 코어는 무언가 짝퉁 아디다스티를 입는 기분이다.(나쁘다는 뜻이 아니다, 짝퉁이 진퉁보다 더 좋은 경우도 있다)

이번에 본의아니게, 서버의 RAID를 지원하는 드라이버가 RHEL용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RHEL을 설치하여 보게 되었다.

우선 알아서 각자 RHEL4버젼을 구해보도록 하자. 현재 Update 4까지 나와있다. 본인은 능력이 없어 U2를 구했다.

설치를 하도록 하자, 그 동안 Redhat홈페이지를 방문하자.

원리는 이렇다. 30day-free버젼의 라이센스를 받아, 그 라이센스를 내 RHEL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http://www.redhat.com/rhel/details/eval/

위의 페이지에 가서 자신에게 맞는 버젼에 들어가서 등록을 하면 된다. 등록하는 방법은 본인의 감에 맞기겠다.

등록하게 되면 등록했던 메일주소로 activation 메일이 온다.

중간에 XXXX-XXXX-XXXX-XXXX 형식의 Registration Number가 있다. 그것을 복사한후에

http://www.redhat.com/activate 에 가서 입력을 하면 나의 계정에 RHEL의 등록키가 활성화 된다.(Active Now!)

이제 서버에 접속하여 RPM을 사용하기 위해 GPG키를 입력하자.

[CODE][root@tomeii src]# rpm –import /usr/share/rhn/RPM-GPG-KEY[/CODE]

이제 up2date에 나의 계정을 등록하여 보자.

[CODE][root@tomeii src]# up2date –register[/CODE]

계정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주소등을 적어주고, 업데이트 리스트등을 설정해 주면 되겠다.

등록이 끝났으면 업데이트를 해보자.

[CODE][root@tomeii src]# up2date –help
[root@tomeii src]# up2date -u[/CODE]

잘되는게 보이는가? 현재 라이센스는 30일밖에 사용하지 못하지만 30일이 지난후에 다시 또 무료로 등록하여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