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리눅스서버관리

내부 서버간의 접속 딜레이 해결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 같은 서버 구조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웹서버 3대가 서비스 중이며 사용자가 업로드한 파일은 NFS로 마운트된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FILE SERVER는 순전히 내부 네트워크용도로 사용되며 FILE SERVER는 DNS를 사용하지 않을것이라고 가정하자.

서버를 설치할때의 기본 설정이라면 NFS마운트시에 꽤 많은 시간의 딜레이가 걸릴것이다.

하지만 중요한건 결국은 마운트가 된다는것;; 일단 마운트가 되면 매우 잘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DN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etc/nsswitch.conf 설정을 바꿔 딜레이를 제거할 수 있다.

[code]#hosts:     db files nisplus nis dns
hosts:      files[/code]

호스트를 찾기 위해 수많은 방법을 동원한다는것인데 files만 지정해주면 /etc/hosts만을 참고한다. 거기에도 없으면 아이피로 찾을것이다.

일반적인 웹서버에서도 dns만 추가한 다음과 같은 설정을 사용하는것이 커넥션 딜레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code]#hosts:     db files nisplus nis dns
hosts:      files dns[/code]

Tomcat 메모리 부족 에러 해결 방법

Flex 같이 단순한 페이지가 아닌 무거운 처리의 경우 기본 톰캣 설정만으로는 메모리 부족 에러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etc/profile의 가장 하단에 다음과같은 옵션을 한줄 넣어주면 해결됩니다.

물론 서버 사양과 상황을 잘 봐서 옵션값을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code]export JAVA_OPTS=”-Xms256m -Xmx1024m -XX:PermSize=64m -XX:MaxPermSize=256m”[/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