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호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VirtualHost> 설정을 하게됩니다. 그리고 이름 기반의 가상 호스팅을 하기 위해 다음의 설정을 사용합니다.
[code]NameVirtualHost *:80[/code]
* 대신에 특정 아이피를 할당할 수 있지만 그것은 여기서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위의 설정을 하는 순간부터 모든 웹서버로의 요청은 가상호스트가 받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가상호스트로 설정되지 않은 정보를 받을때는 어떤 Default한 경로로 연결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우선 기본적으로 아파치의 설정은 가상호스트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요청을 받았을 경우 가장 최상단에 설정된 가상호스트에 자동 연결 합니다.
이는 좋은 일일수도 나쁜일일수도 있겠네요. 그렇다면 가상호스트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요청이 올 경우 예를 들어 에러페이지가 들어있는 경로로 연결한다거나 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할까요?
바로 _default_ 지시자가 있습니다.
[code]<VirtualHost _default_:80>
DocumentRoot /var/www/html
…
</VirtualHost>[/code]
위와 같이 ServerName이나 ServerAlias 설정이 없이도 DocumentRoot설정만 있으면 됩니다. 이제부터는 가상호스트에 설정되지 않은 요청이 올 경우 저 디폴트설정이 받게 됩니다.
Category Archives: 리눅스서버관리

[Redmine] 저장소를 프로젝트별로 자동 생성하게 하기
레드마인의 마음에 드는 점이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로젝트별로 소스 저장소(SCM)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좀 더 편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저장소가 생성되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보기 좋게 이미 기능이 제공되고 있군요.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선 관리자로 레드마인에 접속하여 설정에 들어갑니다.
2.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인증탭의 REST 웹서비스 활성화에 체크합니다.
3. 아래의 이미지를 참고하셔서 저장소의 API키값을 복사해 둡니다. 없다면 생성하시길…
4. 다음의 값을 crontab에 등록하도록 합시다.
[code]*/5 * * * * root ruby /home/redmine/extra/svn/reposman.rb –redmine theeye.pe.kr
–svn-dir /svn –url http://theeye.pe.kr/svn –owner nobody
–key abcdefghijklmnopqrstu[/code]
reposman.rb라는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매번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겼는지 확인하여 저장소를 자동생성합니다. 5분에 한번씩 체크합니다. 옵션에 대한 설명을 다음과 같습니다.
–redmine : 레드마인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를 적습니다.
–svn-dir : SVN의 경우, 저장소 루트의 경로를 적습니다.
–url : SVN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입니다. 보시다시피 아파치에 mod_dav_svn을 이용해 연동하셔야 합니다.
–owner : 저장소를 관리하기 위한 권한설정입니다. 아파치 실행권한에 맞추시면 됩니다.
–key : 아까 3번에서 복제해둔 API키 값입니다.
5. 끝
이제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5분이내로 저장소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레드마인의 프로젝트 내에서 보이지 않던 저장소 탭이 생기게 됩니다.